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국가수준 및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를 수행하고 분석하여 교육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1교육평가
- 교육평가와 관련된 연구와 장기 발전방안을 수립하는 업무를 주관하며,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교육평가 국제비교 등 대규모 학업성취도 평가를 시행ㆍ관리ㆍ연구하고 있습니다.
- 각종 학력 평가도구와 교육 및 심리검사 도구를 개발하며, 학생평가 전문성에 대한 연수 등 평가관련 교육프로그램을 보급하고 있습니다.
2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목적
- 우리나라 학생들의 교과별 학업성취의 추이를 파악함으로써 학교교육의 성과를 점검하고 교육정책 수립, 교수ㆍ학습 방법 및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 학업성취도와 교육 맥락 변인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고 학생, 교사, 학교 변인들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합니다.
-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파악함으로써 보정 교육으로 연결하고자 합니다.
- 컴퓨터 기반 평가를 위한 평가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일선 학교의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고 평가 방법을 선도하고자 합니다.
방법
- 202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계획
202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계획
학년 |
교과 |
평가 범위 |
시간 |
시행일 |
중학교 3학년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
중 1~2학년 전 과정 3학년 1학기 과정 |
교과별 45분 |
9월 14일(목) |
고등학교 2학년 |
국어, 수학, 영어 |
국어, 영어 : 1학년 과정 범교과 소재
수학 : 고등학교 '수학' 전범위 |
교과별 50분 |
9월 21일(목) |
결과 보고 및 활용
- 준거참조평가로서 학생에게 교과별 성취수준('4수준'~'1수준')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를 분석하여 여러 시사점을 제공함으로써 교육 정책 수립 및 교육과정 질 관리, 학교 현장의 교수학습 방법 개선 등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학업성취도평가정보서비스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