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내용 |
본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에서 고교학점제가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발전할 수 있는 정책적, 제도적 설계와 운영에 참조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축적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정책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비교 대상과 항목을 취사선택 하였다. 즉, 일반고 내 진학, 직업 진로별 프로그램 운영 관련 사례로 미국, 역량 중심 교육과정 관련 사례로 호주와 캐나다, 계열별 교육과정 관련 사례로 스웨덴, 일반고와 전문계고 구분 관련 사례로 핀란드, 동아시아 국가로서 고교학점제를 실시 중인 중국, 일본, 대만, 싱가포르, 학생 선택 강조 및 전환학년제 운영 관련 사례로 아일랜드 등 모두 10개국이다. 비교 항목으로는 기본 학제 및 고교 교육의 구조와 성격, 고교학점제 총 이수 학점 및 수업량, 학교 밖 교육 인정제도, 교육과정 편제 및 교과목 구성, 진로 코디네이터(Academic Advisor) 배치 및 운영 현황, 이수 경로 및 이수 요건, 미이수제 운영 현황, 평가 방식 및 대입전형 방식 등을 설정했다.
<이하 생략> |